여러분은 '영케어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말로 '가족돌봄청년'이라고 합니다.
최근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만 영케어러가 900명으로 추정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영케어러'에 대한 정확한 정의조차 없습니다.
때문에 본인조차도 영케어러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저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는 선제적으로 영케어러 시범사업을 진행해온 기관으로써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케어러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족돌봄청년 영케어러 Care Together
[2] 영케어러란?
- 영국: 장애, 신체·정신질환, 약물 등 문제를 가진 가족·친척을 돌보는 18세 이하
- 호주: 장애, 신체·정신질환, 약물 등 문제를 가진 가족·친척을 돌보는 25세 이하
- 일본: 고령, 신체·정신상의 장해 또는 질병 등으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친척·친구·지인에게 무상으로 간병 등을 제공하는 18세 미만
- 한국: 아직 영케어러에 대한 정의가 없는 상황
[3] 첫번째 공통점: 중첩된 부담과 어려움
부모의 신상에 대한 결정권자가 됨/ 부모의 법정대리인이 됨/ 나에게 의존하는 가족들
밀착된 관계에서의 돌봄/ 간병+돌봄노동+가사노동의 총합/ 훈련되지 않은 간병인/ 오랜 돌봄노동으로 인한 신체 통증과 질환 발병
도망치고 싶은 현실
[4] 두번째 공통점: 현재만 있고 미래는 없는 현실
돌봄과 생계를 위해 학업을 포기하거나 중단함
- 돌봄과 병행할 수 있는 불안정한 일자리에 전전함
- 미래가 보이지 않는 현실
[5] 세번째 공통점: 관계의 단절과 고립
혼자 삭이고 다시 추스림/ 무뎌짐, 무감각해짐, 무기력해짐
또래에게 공감받을 수 없는 나의 삶/ 관계의 단절에서 고립으로
[6] 네번째 공통점: 문턱 높은 공적 지원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지원 정보/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하는 '지원 자격'/ 어렵고 복잡한 행정절차
빈곤하지만 청년은 예외!/ 제도적 지원에서 모두 배제됨
[7] 영케어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출처] 2022년 서울특별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영 케어러 케어링' 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영케어러 Care Together」는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으로
현대백화점그룹이 후원하고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하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여러분은 '영케어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말로 '가족돌봄청년'이라고 합니다.
최근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만 영케어러가 900명으로 추정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영케어러'에 대한 정확한 정의조차 없습니다.
때문에 본인조차도 영케어러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저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는 선제적으로 영케어러 시범사업을 진행해온 기관으로써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케어러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족돌봄청년 영케어러 Care Together
[2] 영케어러란?
[3] 첫번째 공통점: 중첩된 부담과 어려움
부모의 신상에 대한 결정권자가 됨/ 부모의 법정대리인이 됨/ 나에게 의존하는 가족들
밀착된 관계에서의 돌봄/ 간병+돌봄노동+가사노동의 총합/ 훈련되지 않은 간병인/ 오랜 돌봄노동으로 인한 신체 통증과 질환 발병
도망치고 싶은 현실
[4] 두번째 공통점: 현재만 있고 미래는 없는 현실
돌봄과 생계를 위해 학업을 포기하거나 중단함
[5] 세번째 공통점: 관계의 단절과 고립
혼자 삭이고 다시 추스림/ 무뎌짐, 무감각해짐, 무기력해짐
또래에게 공감받을 수 없는 나의 삶/ 관계의 단절에서 고립으로
[6] 네번째 공통점: 문턱 높은 공적 지원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지원 정보/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하는 '지원 자격'/ 어렵고 복잡한 행정절차
빈곤하지만 청년은 예외!/ 제도적 지원에서 모두 배제됨
[7] 영케어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출처] 2022년 서울특별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영 케어러 케어링' 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영케어러 Care Together」는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으로
현대백화점그룹이 후원하고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하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