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물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발행물입니다.

발행물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발행물입니다.

[스토리뉴스]#1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에게 보이는 공통점

2023-05-12
조회수 328

여러분은 '영케어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말로 '가족돌봄청년'이라고 합니다.


최근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만 영케어러가 900명으로 추정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영케어러'에 대한 정확한 정의조차  없습니다.

때문에 본인조차도 영케어러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저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는 선제적으로 영케어러 시범사업을 진행해온 기관으로써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케어러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족돌봄청년 영케어러 Care Together

[2] 영케어러란?

  • 영국: 장애, 신체·정신질환, 약물 등 문제를 가진 가족·친척을 돌보는 18세 이하
  • 호주: 장애, 신체·정신질환, 약물 등 문제를 가진 가족·친척을 돌보는 25세 이하 
  • 일본: 고령, 신체·정신상의 장해 또는 질병 등으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친척·친구·지인에게 무상으로 간병 등을 제공하는 18세 미만
  • 한국: 아직 영케어러에 대한 정의가 없는 상황

[3] 첫번째 공통점: 중첩된 부담과 어려움

  • 갑작스럽게 가족의 보호자가 됨

부모의 신상에 대한 결정권자가 됨/ 부모의 법정대리인이 됨/ 나에게 의존하는 가족들

  • 끝을 알 수 없는 지난한 돌봄 노동

밀착된 관계에서의 돌봄/ 간병+돌봄노동+가사노동의 총합/ 훈련되지 않은 간병인/ 오랜 돌봄노동으로 인한 신체 통증과 질환 발병

  • 긴 돌봄으로 인한 소진과 무기력

도망치고 싶은 현실

[4] 두번째 공통점: 현재만 있고 미래는 없는 현실

  • 나를 위한 삶을 중단함

돌봄과 생계를 위해 학업을 포기하거나 중단함

  • 돌봄과 병행할 수 있는 불안정한 일자리에 전전함
  • 미래가 보이지 않는 현실

[5] 세번째 공통점: 관계의 단절과 고립

  • 홀로 감내하며 견딤

혼자 삭이고 다시 추스림/ 무뎌짐, 무감각해짐, 무기력해짐

  • 사회적 관계를 끊고 고립되어감

또래에게 공감받을 수 없는 나의 삶/ 관계의 단절에서 고립으로

[6] 네번째 공통점: 문턱 높은 공적 지원

  • 까다로운 자격 조건과 행정절차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지원 정보/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하는 '지원 자격'/ 어렵고 복잡한 행정절차

  •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돌봄자

빈곤하지만 청년은 예외!/ 제도적 지원에서 모두 배제됨

[7] 영케어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출처] 2022년 서울특별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영 케어러 케어링' 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영케어러 Care Together」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으로

현대백화점그룹이 후원하고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하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서울특별시 청년활동지원센터
고유번호 : 509-82-67896 ㅣ 이메일 : sygc@sygc.kr
대표번호 : 02-6358-0607 ㅣ 팩스 : 02-6358-0615
(우 04314)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97길 15, 2층

운영시간ㅣ사무실 평일 09:00~18:00
청년공간ㅣ평일 10:00~22:00, 토요일 10:00~17:00


Copyright © Seoul Youth Guarantee Center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Seoul Youth Guarantee Center All Rights Reserved.